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백준가운데를말해요
- 스파르타코딩클럽
- 딥러닝
- 컴퓨터비전
- 합성곱연산
- 확인문제
- 이것이자바다
- 코드트리
- 가운데를말해요
- 백준스택
- 웹개발기초
- 냅색알고리즘
- 이것이자바다9장
- 카카오코테
- 백준온라인저지
- 이것이자바다확인문제
- 윤곽선검출
- 코딩테스트실력진단
- BOJ
- 운영체제
- 코테
- BOJ1655
- 백준9012
- 백준괄호
- 백준10828
- KT포트포워딩
- 2019카카오코테
- 백준
- 백준평범한배낭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3)
코딩하는 락커

This week, I wrote down the testing code at work, and It was the very first time to wrote testing code in Pytest and Django environments. Actually, I had experience writing testing code with Java and Spring frameworks, But it was because of the study of how to write testing code, rather than I truly needed it. This time I felt a strong need to write it down and I'm going to share that experience..

... 그 과정에서 감정적으로 힘들었던 순간도 많았고 스스로에 대한 의구심도 많이 들었다. 그럴 때 마다 생각했다. 꾸준히 하는 게 모든 걸 이긴다. 끝까지 버티면 모든 걸 해낸다. 지금의 내가 취준 생활에서 어느 지점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 것은 위의 모든 것을 겪어낸 2023년의 나는 2022년의 나보다는 좋은 개발자에 가까워졌으며, 확신이 있고, 회복 탄력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느낀다. 한 해 동안 정말 수고 많았다!! 올 한 해는 결실을 맺는 한해가 되도록 노력해보자!!! 위 문장은 작년 회고에 적었던 마지막 문장이었다. 그리고 올해 나는 정말로 결실을 맺었다. 노력과 운이 결실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체감했던 한 해, 2023년 회고는 이러한 결실을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어떻게 맺었는지 적어보려..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0057 문제 마법사 상어가 토네이도를 배웠고, 오늘은 토네이도를 크기가 N×N인 격자로 나누어진 모래밭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위치 (r, c)는 격자의 r행 c열을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모래의 양을 의미한다. 토네이도를 시전하면 격자의 가운데 칸부터 토네이도의 이동이 시작된다. 토네이도는 한 번에 한 칸 이동한다. 다음은 N = 7인 경우 토네이도의 이동이다. 토네이도가 한 칸 이동할 때마다 모래는 다음과 같이 일정한 비율로 흩날리게 된다. 토네이도가 x에서 y로 이동하면, y의 모든 모래가 비율과 α가 적혀있는 칸으로 이동한다. 비율이 적혀있는 칸으로 이동하는 모래의 양은 y에 있는 모래의 해당 비율만큼이고, 계..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7210 문제 신을 모시는 사당에는 신을 조각한 돌상 N개가 일렬로 놓여 있다. 각 돌상은 왼쪽 또는 오른쪽을 바라보고 서있다. 창영이는 연속한 몇 개의 돌상에 금칠을 하여 궁극의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 궁극의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많은 금색 돌상들이 같은 방향을 바라보아야 한다. 방향이 다른 돌상은 깨달음에 치명적이다. 깨달음의 양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 (왼쪽을 바라보는 금색 돌상의 개수) - (오른쪽을 바라보는 금색 돌상의 개수) | 창영이는 궁극의 깨달음을 얻을 수 있을까? 입력 첫째 줄에 돌상의 개수 N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 돌상이 나열된 순서대로, 각 돌상이 바라보고 있는 방향이 주어진다. 입력의 편의상 왼쪽은..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27211 문제 준겸이는 N×M$N \times M$칸으로 이루어진 도넛 모양의 행성에 살고 있다. 준겸이가 살고 있는 행성에는 위 그림처럼 격자 모양으로 줄이 그어져 있다. 행성의 각 칸은 숲으로 막혀 있거나, 지나갈 수 있도록 비어 있다. 준겸이는 본인의 집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삼아 (0,0)$(0,0)$이라고 표시하기로 했다. 준겸이는 행성 위에서 상하좌우로 걸어 다닐 수 있다. 준겸이가 오른쪽으로 한 칸 걸어가면, 위치 (0,1)$(0,1)$에 도달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래로 한 칸 걸어가면, 위치 (1,0)$(1,0)$에 도달할 것이다. 준겸이가 (0,0)$(0,0)$에서 M$M$칸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한 바퀴를 돌아 다시 원..

2022년이 끝났다. 참나.. 난 끝난줄도 모르고 있었다. (구라 아님) 왜냐면 2022년 12월 31일 오후 11시 59분까지 다음날 있는 코딩 테스트를 대비하기 위한 오답노트 정리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시간이 벌써 그렇게 간줄도 몰랐다 ..하하 ^v^ 비록 코테 준비 + CS 스터디 등으로 인해 허무하게 가버린 연말이지만 그래도 나에게 참으로 인상깊었던 한 해였던 2022년을 한번 쭉 되돌아보려고 한다. ㄱㄱ~ 1월 2022년 1월에는 Spring 공부를 주로 했었다. 12월 .. 그러니까 2021년 12월 즈음 부터 해커톤이 끝난 뒤, 해커톤에서 내가 Spring을 할 줄 몰라 프로젝트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던 경험을 한 후 Spring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혼자 독학을 시작했었다. 초반에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18669#qna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import heapq sys.setrecursionlimit(10**6) graph = defaultdict(list) N = 0 intensity = [] def dijkstra(s, summit, gate): global intensity q = [(0, s)] intensity[s] = 0 while q: # w, v: 이전 정점으로부터 v까지의 가중치, 현재 정점 # heap을 사용하여 가중치가 가장 작은 값을 꺼냄 w, v = heapq.heappop(q) # v가 산봉우리인지 확인 ..

링크 https://www.acmicpc.net/problem/17406 문제 크기가 N×M 크기인 배열 A가 있을때, 배열 A의 값은 각 행에 있는 모든 수의 합 중 최솟값을 의미한다. 배열 A가 아래와 같은 경우 1행의 합은 6, 2행의 합은 4, 3행의 합은 15이다. 따라서, 배열 A의 값은 4이다. 1 2 3 2 1 1 4 5 6 배열은 회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 연산은 세 정수 (r, c, s)로 이루어져 있고, 가장 왼쪽 윗 칸이 (r-s, c-s),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이 (r+s, c+s)인 정사각형을 시계 방향으로 한 칸씩 돌린다는 의미이다. 배열의 칸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배열 A의 크기가 6×6이고, 회전 연산이 (3, 4, 2)인 경우에는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