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BOJ1655
- 백준
- 합성곱연산
- 백준평범한배낭
- 이것이자바다확인문제
- BOJ
- 백준스택
- 코테
- 이것이자바다9장
- java
- 컴퓨터비전
- 백준가운데를말해요
- 스파르타코딩클럽
- 웹개발기초
- 이것이자바다
- 백준온라인저지
- 2019카카오코테
- 카카오코테
- 냅색알고리즘
- 가운데를말해요
- 백준괄호
- 코드트리
- KT포트포워딩
- 코딩테스트실력진단
- 윤곽선검출
- 백준10828
- 백준9012
- 확인문제
- 운영체제
- 딥러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68)
코딩하는 락커
1. 자바의 상속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자바는 다중 상속을 허용한다. 부모의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오버라이딩)할 수 있다. 부모의 private 접근 제한을 갖는 필드와 메소드는 상속의 대상이 아니다. final 클래스는 상속할 수 없고, final 메소드는 오버라이딩할 수 없다. 2. 클래스 타입 변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자식 객체는 부모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된다. 부모 객체는 항상 자식 타입으로 강제 타입 변환된다. 자동 타입 변환을 이용해서 필드와 매개 변수의 다형성을 구현한다. 강제 타입 변환 전에 instanceof 연산자로 변환 가능한지 검사하는 것이 좋다. 3. final 키워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final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로..
1. 객체와 클래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설계도(청사진)와 같은 것이다. new 연산자로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함으로써 객체가 생성된다. 하나의 클래스로 하나의 객체만 생성할 수 있다. 객체는 클래스의 인스턴스이다. 2. 클래스의 구성 멤버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필드(field) 생성자(constructor) 메소드(method) 로컬 변수(local variable) 3. 필드, 생성자, 메소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입니까? 필드는 객체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생성자는 객체의 초기화를 담당한다. 메소드는 객체의 동작 부분으로 실행 코드를 가지고 있는 블록이다. 클래스는 반드시 필드와 메소드를 가져야 한다. 4. 필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때는 대학교 2학년 봄 ... 코딩이란 Line by Line 인줄 알았던 나에게 객체지향이 찾아왔다. 그 이름은 바로 "Java".. 객체 프로그래밍이라는 수업에서 Java를 배우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그때 나에게 Java란 참으로 귀찮은 언어였다. public 어쩌구 System.out.println 어쩌구 ... printf만 하면 끝나는 C와 print만 하면 끝나는 Python에 비해 너무 길다고 생각했다. 또 당시 교수님께서 thread를 미친듯이 강조하셨었는데, 때문에 그 이후로는 java == thread 이런 공식이 세워져 버렸다. 그래서 나와 java의 인연은 ... 슬프게도 2학년 2학기때 JSP로 서버 프로그래밍을 한 것 이후로 한동안 암흑기를 가졌다. ... (그래도 객체 프로..
CPU-I/O Burst Cycle 1. 프로세스는 CPU execution + I/O wait의 cycle로 구성됨 2. CPU burst: CPU에 의해 직접 수행되는 작업의 부분(CPU execution) 3. I/O burts: CPU에 의하지 않고 일어나는 작업의 부분(I/O execution) 4. 일반적으로 프로세스는 많은 수의 짧은 CPU burst들, 혹은 적은 수의 긴 CPU burst들로 구성되며, 이들의 편중에 따라 I/O-bound 프로그램과 CPU-bound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음 5. I/O-bound 프로그램: 작업의 대부분이 I/O로 구성, CPU burst는 짧게 들어가 있음 6. CPU-bound 프로그램: 작업의 대부분이 CPU burst로 구성 7. CPU bur..
프로세스란? 1. 운영체제의 이해를 위한 기본 개념 2. 멀티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의 기본 단위 3. 스레드(thread)와 비교 필요 4. 정의: A program in execution(실행중인 프로그램), 컴파일러에 의해 프로그램을 실행파일로 컴파일 -> 로더에 의해 실행파일을 메모리에 탑재 -> 실행되는 순간 프로세스가 됨! 실생활에서의 프로세스 예 1. 프로세스는 “a sequence of snapshots”로 눈에 보이지 않음(Invisible). 그러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수행의 실재는 프로그램이 조작하고 있는 데이터의 상태(state) 시간에 대한 변화를 기반으로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3. 데이터의 상태(state) 정보: 실행 위치(Program Counter..
운영체제가 해 주는 서비스 1. 컴퓨터 사용자를 위한 서비스 ① User Interface: ex) CLI, GUI ② Program 수행: 프로그램을 주메모리에 탑재 및 수행 ③ File 조작 및 관리: 파일 읽기/쓰기, 디렉토리 읽기/ 쓰기, 파일 생성, 제거, 변경, 보호 등 파일과 관련된 모든 동작 ④ 통신: 프로세스간 통신(IPC), 네트워크를 통한 컴퓨터 간의 통신 ⑤ 오류 탐지 및 처리 2. 자원 공유를 통해 시스템의 효율적인 동작을 위한 기능 ①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CPU, main memory, I/O device ② 보호 및 보안(protection & security) : 보호(protection) - 시스템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내부 자원에 대한 접근을..
배운 내용 스파르타 코딩클럽 1-1 1. 네이버 화면에서 코드를 수정해도 내가 보는 웹페이지만 바꿀 수 있다. 2. 내가 지금 보는 웹페이지는 사실 인터넷과 관련이 없다 3. 새로고침을 하면 수정한 코드가 원상복기 된다 -> 뭔가를 새로 받아와서 그려준다 브라우저 :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온 데이터를 그대로 그려주는 역할 HTML : 뼈대 (사전은 뉴스 옆에 있어!) CSS : 예쁘게 꾸미기 JavaScript : 클릭하면 이동, 움직이게 하는 것 서버 : 데이터를 주는 애 스파르타 코딩클럽 1-3 Head : 바디 말고 나머지에 필요한 태그들이 다 있음. ex) 아이콘, 구글 검색엔진이 내 사이트를 퍼가기 좋게 만드는 것들, body : 눈에 보이는 부분 전부 div : 구역을 묶어주는 애들 ..
참고 - https://storytown.tistory.com/14 (포트포워딩 개념) - https://compunication.tistory.com/5 - https://10000sukk.tistory.com/23 - https://kibbomi.tistory.com/219 1. KT 공유기 설정 페이지로 접속 후 로그인 http://homehub.olleh.com 2. 내 맥북 (서버) 내부 ip 주소 알아내기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3. 알아낸 주소로 포트 포워딩 4. 내 노트북(서버) 외부(공인) ip 주소 알아내기 https://www.findip.kr/ 5. settings.py에 django에 외부 ip 추가 ALLOWED_HOSTS = ['외부(공인) ip 주소'] 6. djang..